본문 바로가기
정보글

빈대 물린자국과 바르는 약, 빈대 퇴치제 알아보기

by 베리스트로베리 2023. 11. 8.

요즘 곳곳에서 빈대출몰로 인해 전국적인 비상입니다. 심지어 일부 쿠팡 물류센터에서도 발견되었다는 소문이 돌았는데 쿠팡 측에서는 강력히 반발하였습니다. 아무튼 빈대가 일상생활에 점점 깊이 침투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 걱정이 되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빈대에 물린 자국과 빈대약, 빈대 퇴치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빈대 물린 자국

빈대에 물린 자국은 다음과 같습니다. 빈대에 물렸을 경우 빨갛게 부풀어 오르고 가려움과 통증을 동반하는 것이 특징인데요. 이때 민간요법으로 침을 바른다거나 긁으면 2차 감염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행동은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빈대 물린자국(사진출처 :부산시 제공)

 

 

빈대에 물렸을 때 바르는 약

빈대에 물렸을 때 바르는 약으로는 보통 벌레 물렸을 때 바르는 연고를 바르면 되는데요. 빈대 전용 연고가 따로 있는 것은 아니며, 바르는 연고로는 다음과 같은 성분이 포함된 액상 ·겔 ·크림 형태 종류를 구입하면 됩니다. 이 약품들은 눈에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며, 사용 후에는 손을 씻는 것이 좋겠습니다. 

1. 항히스타민(디펜히드라민) : 알레르기성 비염, 알레르기성 천식 등 알레르기 질환에 사용됨

2. 진통·수렴제(살리실산메틸, 캄파, 멘톨 등) 

3. 부신피질호르몬(프레드니솔론, 히드로코티손 등)

만약 가려움이 심하다면 먹는 형태의 항히스타민제(세티리진 성분)를 복용하면 간지러움을 완화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단, 항히스타민제는 졸음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유의해야 합니다. 

 

 

 

빈대 퇴치제

빈대 퇴치제로는 비오킬(동성제약), 모스펜스(경남제약) 같은 것들이 있고 큰 판매량을 기록하고 있지만, 이는 큰 효과는 없다는 전문가들의 의견이 많습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위의 살충제는 피레스로이드계 성분인데, 최근 발견되는 빈대는 이에 대한 내성이 생긴 것으로 보임

2. 국내에 나타나는 빈대는 반날개빈대와 일반 빈대인데, 이것들은 피레스로이드계 성분에 대한 저항성이 있음

3. 외국에서는 이미 다른 종류의 살충제 도입

따라서 질병관리청은 환경부와 함께 효과가 있는 살충제를 국내에 도입하기 위해 논의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빈대에 물린 자국과 빈대약, 빈대 퇴치제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빈대가 생기면 초가삼간을 태운다는 말이 왜 있는지 이해가 될 정도로 빈대 퇴치가 쉽지 않다고 하니, 정부 차원에서 빨리 방역을 시작해서 모두 피해 없으시기 바랍니다.

 

 

 

 

 

댓글